Bridges to Babylo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ridges to Babylon은 1997년에 발매된 롤링 스톤스의 21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1996년에 작곡을 시작하여 1997년 로스앤젤레스의 오션 웨이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돈 워스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이 앨범은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가 공동 작곡한 곡들을 담고 있으며, k.d. 랭의 "Constant Craving"과 유사한 점 때문에 싱글 "Anybody Seen My Baby?"에 랭과 벤 밍크가 공동 작곡가로 참여했다. 앨범 커버는 슈테판 자그마이스터가 디자인했으며, 바빌로니아 미술에서 영감을 받았다. 앨범은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미국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Bridges to Babylon Tour"라는 월드 투어를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롤링 스톤스의 음반 - 12 X 5
12 X 5는 1964년 시카고에서 녹음된 롤링 스톤스의 두 번째 미국 스튜디오 앨범으로, R&B 커버 곡, 자작곡, EP 수록곡 등을 포함하며, 발매 당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빌보드 차트 3위에 올랐다. - 롤링 스톤스의 음반 - Steel Wheels
《Steel Wheels》는 1989년 롤링 스톤스가 발표한 앨범으로,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의 갈등을 극복하고 제작되었으며,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대규모 월드 투어로 이어졌다. - 1997년 음반 - Pop (U2의 음반)
1997년 발매된 U2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 《Pop》은 전자 음악과 샘플링을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긍정적 평가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멤버들은 최종 결과물에 실망했고, 앨범의 실험적인 시도는 U2의 음악적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 1997년 음반 - Life After Death
노토리어스 B.I.G.의 사후 앨범인 Life After Death는 평단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힙합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가 되었고 갱스터 랩의 주류 음악 시장 진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버진 레코드 음반 - Pocket Symphony
프랑스 듀오 에어가 2007년에 발표한 네 번째 정규 앨범인 Pocket Symphony는 JB Dunckel과 니콜라 고댕이 작사/작곡하고 자비스 코커, 닐 해넌 등 다양한 뮤지션이 협업하여 유럽 각국 및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버진 레코드 음반 - Steel Wheels
《Steel Wheels》는 1989년 롤링 스톤스가 발표한 앨범으로,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의 갈등을 극복하고 제작되었으며,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대규모 월드 투어로 이어졌다.
Bridges to Babylon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Bridges to Babylon |
종류 | 스튜디오 음반 |
아티스트 | 롤링 스톤스 |
![]() | |
발매일 | 1997년 9월 29일 |
녹음 | 1997년 3월 13일 – 7월 |
스튜디오 | 오션 웨이 레코딩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장르 | 록 |
길이 | 62분 27초 |
레이블 | Virgin |
프로듀서 | 돈 워스, 글리머 트윈스, 롭 프라보니, 대니 세이버, 피에르 드 뷰포트, 더스트 브라더스 |
차트 순위 | |
오스트리아 | 1위 |
스웨덴 | 1위 |
독일 | 1위 |
노르웨이 | 1위 |
네덜란드 | 2위 |
프랑스 | 2위 |
벨기에 (플란데런 지역) | 2위 |
미국 | 3위 |
스위스 | 3위 |
핀란드 | 3위 |
벨기에 (왈롱 지역) | 5위 |
영국 | 6위 |
일본 | 9위 |
뉴질랜드 | 10위 |
오스트레일리아 | 19위 |
싱글 | |
싱글 1 | Anybody Seen My Baby? |
싱글 1 발매일 | 1997년 9월 22일 |
싱글 2 | Saint of Me |
싱글 2 발매일 | 1998년 1월 26일 |
싱글 3 | Out of Control |
싱글 3 발매일 | 1998년 8월 |
이전 음반 및 다음 음반 | |
이전 음반 | The Rolling Stones Rock and Roll Circus (album) |
이전 음반 발매일 | 1996년 |
다음 음반 | No Security |
다음 음반 발매일 | 1998년 |
2. 배경 및 녹음
1994년과 1995년의 Voodoo Lounge Tour와 《Stripped》 프로젝트 이후, 롤링 스톤스는 1996년 여름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가 신곡 작업을 시작하기 전까지 휴식기를 가졌다. 11월에는 뉴욕에서, 다음 달에는 런던에서 만나 데모를 제작했고, 1997년 1월에는 바베이도스에서 추가적인 작곡 세션이 진행되었다.[1]
1997년 3월, 밴드는 로스앤젤레스의 오션 웨이 스튜디오에서 녹음 세션을 시작했다. 외딴 섬에서 여러 앨범을 녹음한 후, 대도시에서 작업하면서 다양한 뮤지션 친구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Bridges to Babylon》은 7월까지 녹음되었으며, 4개월간의 제작 기간은 수년간 가장 짧은 녹음 기간 중 하나였다. 세션은 종종 리처즈가 아침에 피곤해질 때까지 밤샘으로 진행되었다.[1]
돈 워스가 다시 프로듀서를 맡았다. 믹 재거는 다양한 프로듀서들과 협업하여 앨범의 다채로운 사운드를 만들고자 했다.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는 때때로 별도의 공간에서 작업하며 각자의 음악적 색깔을 강조했다. 드러머 찰리 와츠는 퍼커셔니스트 짐 켈트너와 함께 작업하여 긴장된 분위기를 완화했는데, 그는 나중에 솔로 프로젝트에도 켈트너를 참여시켰다. 녹음 마지막 주가 되자 롤링 스톤스는 서로 말을 하지 않았고, 재거는 리처즈의 팀이 마련한 세션을 보이콧했으며, 와츠는 자신의 참여가 끝나자마자 로스앤젤레스를 떠났다.[1]
앨범 마스터링 과정에서, 리드 싱글인 "Anybody Seen My Baby?"의 코러스가 k.d. 랭의 1992년 히트곡 "Constant Craving"과 유사하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이는 리처즈의 딸 안젤라에 의해 리처즈에게 알려졌다.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해 랭과 그녀의 공동 작곡가 벤 밍크는 재거와 리처즈와 함께 새로운 곡에 크레딧되었다.[3]
앨범 세션에는 총 9명의 뮤지션이 베이스를 연주했다: 제프 살리, 블론디 채플린, 제이미 무호베락, 피에르 드 보포르, 돈 워스, 대니 세이버, 대릴 존스, 미셸 은데게오첼로, 더그 윔비시.
이번 작품은 돈 워즈를 포함한 여러 명의 프로듀서와 함께 제작한 앨범으로, 지금까지 스톤스의 앨범 제작 방식이었던 글리머 트윈스와 또 다른 한 명의 프로듀서 형태에서 벗어난 매우 획기적인 시도였다. 이 때문에 곡의 인상은 물론 완성도에 대해서도 큰 차이를 보인다. 재거는 "마일스 데이비스는 앨범마다 프로듀서를 바꿨지만, 밴드에서는 할 수 없으니 이런 형태로 해봤다"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수록곡 전체의 질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앨범 자체의 평가는 높지 않았고, 본국과 미국에서의 판매량은 크게 늘지 않았다. 하지만 전작과 마찬가지로 발매와 동시에 월드 투어를 진행하여 세계적으로 판매량을 늘려 대히트를 기록했다. 특히 남미나 동유럽에서의 인기가 높았다.
재거와 리처즈 두 사람의 개성이 특히 두드러졌다는 점도 특징이다. 여러 명의 프로듀서를 기용한다는 생각, 1번 트랙 "Flip the Switch"와 11번 트랙 "Too Tight"에서 업라이트 베이스를 사용한 고전적 취향의 리처즈다움 등이 그것을 뒷받침한다. 이번 작품에서는 스톤스 역사상 처음이자 2016년 시점에서 유일하게 키스의 리드 보컬 곡이 3곡 수록되었다. 멤버 4명 외에 대릴 존스(베이스 기타), 버나드 파울러(백 보컬)와 같은 서포트 멤버, 빌리 프레스턴(오르간), 와디 왁텔(기타), 미셸 은데게오첼로(베이스), 짐 켈트너(퍼커션), 웨인 쇼터(색소폰) 등 게스트 뮤지션, 공동 프로듀서 중 한 명인 돈 워즈도 연주에 참여하여 현재까지 참가 뮤지션이 가장 많은 작품이다.
2번 트랙 "Anybody Seen My Baby?"는 k.d. 랭과 벤 밍크의 이름이 크레딧되어 있다. 이는 이 곡의 코러스 부분이 두 사람이 작곡한 k.d. 랭의 히트곡 "Constant Craving"과 비슷했기 때문에 소송을 피하기 위한 조치였다. 원래는 1970년대에 만들어진 곡이지만 오랫동안 창고에 묵혀 있다가 이번 앨범에서 빛을 보게 되었다. 뮤직 비디오에는 안젤리나 졸리가 스트리퍼 역으로 출연하여 화제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앨범이 세계 최초로 발매되었기 때문에 리컷 싱글이 되었다.
리처즈에 따르면 10번 트랙 "Always Suffering"에서 자신은 기타를 연주했을 뿐 제작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왓츠는 자신의 파트를 녹음한 후에는 거의 트랙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트랙에 대해 몇 가지 주문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2. 1. 프로듀서와의 협업
믹 재거는 벡의 《Odelay》와 비스티 보이즈의 《Paul's Boutique》 작업으로 유명한 더 더스트 브라더스를 섭외하여 앨범에 신선함을 불어넣었다.[2] 더 더스트 브라더스의 기여는 처음에는 5곡이었지만 3곡으로 줄어들었는데, 이는 샘플링을 특징으로 하는 유일한 롤링 스톤스 곡이 되었다.[1] 대니 세이버와 베이비페이스도 재거에 의해 참여했지만, 베이비페이스의 "Already Over Me" 트랙에 대한 기여는 결국 폐기되었다.[1] 키스 리처즈는 '루프 전문가'와 함께 작업하는 것에 대해 탐탁지 않아하여, 세이버가 기타를 오버더빙하는 것을 발견하자 스튜디오에서 내쫓기도 했다.[1] 리처즈는 자신의 솔로 작업을 위해 롭 프라보니를 데려왔고, 돈 워스는 리처즈와 재거가 별도의 방에서 작업하도록 했다.[1]3. 커버 아트
롤링 스톤스는 슈테판 자그마이스터를 이 음반의 예술감독으로 선정했고, 재거는 그에게 대영박물관에 전시된 바빌로니아 미술에서 영감을 얻으라고 말했다.[42][43] 자그마이스터는 인간의 머리와 수염을 가진 사자를 형상화한 라마수 조각품에 가장 감명받았고, 아티스트 케빈 머피에게 비슷한 아시리아사자를 공격 자세로 그리도록 의뢰했다. 《Bridges to Babylon》의 처음 백만 유닛은 특수 제작된 파일리 나무 전표 케이스에 싸여 있었는데, 이것은 사자가 디자인에 끼워져 있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 커버의 사막 배경은 책자 전체로 확대되어 Bridges to Babylon Tour 무대 디자인의 기초가 되는 폐허를 특징으로 했다.
4. 발매 및 반응
《Bridges to Babylon》은 엇갈린 평가를 받으며 발매되었다. 영국에서 6위, 프랑스에서 2위, 미국에서는 3위를 기록했으며, 1997년 11월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48] 2010년 1월 기준으로 미국에서 110만 장이 판매되었다.[49] 싱글 〈Saint of Me〉와 콘서트에서 자주 연주되는 〈Out of Control〉도 소소한 히트를 기록했다.
"Anybody Seen My Baby?"는 k.d. 랭과 벤 밍크가 공동 작곡으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이 곡의 코러스 부분이 k.d. 랭의 히트곡 "Constant Craving"과 유사했기 때문에 소송을 피하기 위한 조치였다.[15]
롤링 스톤스는 1997년부터 Bridges to Babylon Tour를 시작하여 108회의 공연을 진행했다. 이 투어는 U2의 PopMart Tour와 비슷한 정교한 무대 디자인을 선보였다.[41]
2009년, 유니버설 뮤직 그룹은 《Bridges to Babylon》을 리마스터하여 재발매하였다.
4. 1. 대한민국에서의 반응
롤링 스톤스는 Bridges to Babylon Tour의 일환으로 1998년 3월 대한민국에서 6회의 공연을 가졌다.[41]5. 곡 목록
순서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Flip the Switch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3:28 |
2 | Anybody Seen My Baby? | 믹 재거/키스 리처즈/k.d. 랭/벤 밍크 | 4:31 |
3 | Low Down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4:26 |
4 | Already Over Me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5:24 |
5 | Gunface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5:02 |
6 | You Don't Have to Mean It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3:44 |
7 | Out of Control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4:43 |
8 | Saint of Me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5:15 |
9 | Might as Well Get Juiced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5:23 |
10 | Always Suffering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4:44 |
11 | Too Tight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3:33 |
12 | Thief in the Night | 믹 재거/키스 리처즈/피에르 드 보포트 | 5:15 |
13 | How Can I Stop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6:54 |
14 | Angie (1995년 3월 6일 도쿄돔 라이브) | 믹 재거/키스 리처즈 | 3:52 |
- 모든 곡은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가 작사/작곡했다.
- 〈Anybody Seen My Baby?〉는 k.d. 랭과 벤 밍크가 공동 작곡했다. 이 곡의 코러스 부분이 k.d. 랭의 히트곡 〈Constant Craving〉과 유사하여 소송을 피하기 위해 크레딧에 이름을 올렸다.[15]
- 〈Thief in the Night〉는 피에르 드 보포트가 공동 작곡했다.
- 키스 리처즈는 〈You Don't Have to Mean It〉, 〈Thief in the Night〉, 〈How Can I Stop〉에서 리드 보컬을 맡았다.
- 14번 트랙은 일본반 보너스 트랙이다.
5. 1. 참여 뮤지션
Bridges to Babylon영어의 참여 뮤지션은 다음과 같다.[15]'''롤링 스톤스'''
- 믹 재거 - 리드 보컬(6, 12, 13번 트랙 제외), 기타(2, 5, 10번 트랙), 하모니카(7, 9번 트랙), 키보드(8, 9번 트랙), 와-와 기타(7번 트랙), 셰이커(7번 트랙), 어쿠스틱 기타(4, 8번 트랙)
- 키스 리처즈 - 기타(8, 12번 트랙 제외), 백 보컬(1–4, 7, 10, 11번 트랙), 리드 보컬(6, 12, 13번 트랙), 어쿠스틱 기타(12번 트랙), 피아노(12번 트랙), 박수(1번 트랙)
- 로니 우드 - 기타(1–3, 6–8, 11–13번 트랙), 슬라이드 기타(3, 5, 9번 트랙), 페달 스틸 기타(10, 11번 트랙), 도브로(4번 트랙), 바리톤 기타(4번 트랙)
- 찰리 와츠 - 드럼(전체 트랙), 백 보컬(10번 트랙)
'''추가 뮤지션'''
악기 | 뮤지션 | 참여 트랙 |
---|---|---|
베이스 기타 | 대릴 존스 | 6, 10, 12번 트랙 |
미셸 은데게오첼로 | 8번 트랙 | |
대니 세이버 | 5, 7번 트랙 | |
제프 설리 | 1번 트랙 | |
어쿠스틱 베이스 | 제프 설리 | 11, 13번 트랙 |
베이스 기타 | 돈 워스 | 4번 트랙 |
블론디 채플린 | 3번 트랙 | |
베이스 식스 | 피에르 드 보포르 | 8번 트랙 |
제이미 무호버랙 | 2번 트랙 | |
더그 윔비시 | 9번 트랙 | |
기타 | 대니 세이버 | 5번 트랙 |
와디 와흐텔 | 8, 12, 13번 트랙 | |
일렉트릭 기타 | 와디 와흐텔 | 1–3, 7, 9, 11번 트랙 |
어쿠스틱 기타 | 와디 와흐텔 | 2, 10번 트랙 |
키보드 | 대니 세이버 | 5번 트랙 |
돈 워스 | 2, 7번 트랙 | |
제이미 무호버랙 | 2, 7, 8번 트랙 | |
클라비넷 | 대니 세이버 | 7번 트랙 |
"현실 조작" | 대니 세이버 | 7번 트랙 |
월리처 피아노 | 돈 워스 | 7, 13번 트랙 |
피에르 드 보포르 | 12번 트랙 | |
펜더 로즈 피아노 | 피에르 드 보포르 | 12번 트랙 |
백 보컬 | 블론디 채플린 | 5, 9번 트랙 제외 |
더그 윔비시 | 10번 트랙 | |
와디 와흐텔 | 10번 트랙 | |
버나드 파울러 | 5, 9번 트랙 제외 | |
셰이커 | 블론디 채플린 | 2번 트랙 |
짐 켈트너 | 3번 트랙 | |
마라카스 | 블론디 채플린 | 3번 트랙 |
피아노 | 블론디 채플린 | 4, 11, 13번 트랙 |
클린턴 클리포드 | 6번 트랙 | |
벤몬트 텐치 | 10번 트랙 | |
해먼드 B-3 오르간 | 클린턴 클리포드 | 6번 트랙 |
벤몬트 텐치 | 10번 트랙 | |
해먼드 C-3 오르간 | 벤몬트 텐치 | 4번 트랙 |
키보드 | 벤몬트 텐치 | 4번 트랙 |
탬버린 | 블론디 채플린 | 1, 10–12번 트랙 |
오르간 | 빌리 프레스턴 | 8번 트랙 |
트럼펫 | 다렐 레너드 | 3, 6, 12번 트랙 |
소프라노 색소폰 | 웨인 쇼터 | 13번 트랙 |
바리톤 색소폰 | 조 서블릿 | 1번 트랙 |
색소폰 | 조 서블릿 | 3, 6, 12번 트랙 |
랩 | 비즈 마키 | 2번 트랙 |
퍼커션 | 짐 켈트너 | 1, 4–7, 10–13번 트랙 |
버킷 | 케니 아로노프 | 4번 트랙 |
롤링 스톤스 멤버들 외에도 대릴 존스, 버나드 파울러, 빌리 프레스턴, 와디 와흐텔, 미셸 은데게오첼로, 짐 켈트너, 웨인 쇼터 등 다양한 뮤지션들이 참여했다.
6. Bridges to Babylon Tour
Bridges to Babylon 투어는 1997년부터 1998년까지 롤링 스톤스를 투어 현상으로 만든 108회의 공연으로 구성되었다. 믹 재거는 U2의 팝마트 투어와 유사한 정교한 무대 디자인을 목표로 했다.[1] 이 투어는 "The Rolling Stones Bridges to Babylon World Tour 1997/98"(B2B 투어)라는 이름으로 1997년 9월 4일 토론토의 호스슈 타번 공연을 시작으로 이듬해 9월까지 진행되었다.
B2B 투어는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북미, 아시아・오세아니아, 중남미 지역 투어는 순조롭게 진행되었지만, 유럽 투어 직전 키스 리처즈가 자택 서고에서 떨어져 갈비뼈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어 약 1개월간 투어가 연기 및 변경되었다. 또한 1998년부터 영국에서 새롭게 도입된 과세 제도의 영향으로 영국 공연이 1999년까지 약 1년간 연기되었다.
이러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1999년에는 라이브 앨범 노 시큐리티의 이름을 딴 투어가 북미 지역에서만 진행되었다. 이 투어는 스타디움 공연 대신 아레나 공연으로 변경되었고, 무대 세트와 연주곡도 조정되었다. 영국 공연에서는 B2B 투어의 무대 세트가 다시 사용되었지만, 세트 리스트는 노 시큐리티 투어에 가까웠다.
여러 문제에도 불구하고 키스 리처즈는 투어 시작부터 "밴드의 컨디션이 좋다"라고 언급했으며, 실제 공연은 영국 공연까지 안정적으로 진행되었다. 이 투어는 밴드 역사상 동유럽에서 본격적으로 진행된 첫 투어였으며, 대규모 공연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스타디움 티켓 매진과 앨범 판매 호조를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6. 1. 대한민국 공연
The Rolling Stones Bridges to Babylon World Tour 1997/98영어의 일환으로, 롤링 스톤스는 1998년 3월에 일본에서 6회 공연을 가졌다.[1]7. 인증 및 판매량
롤링 스톤스의 앨범 《Bridges to Babylon》은 여러 국가에서 판매량에 따라 인증을 받았다.
참조
[1]
서적
Old Gods Almost Dead: The 40-Year Odyssey of the Rolling Stones
Crown/Archetype
[2]
서적
Rocks Off: 50 Tracks That Tell the Story of the Rolling Stones
MacMillan
[3]
서적
Life
Weidenfeld & Nicolson
[4]
웹사이트
Billboard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1997-11-08
[5]
웹사이트
Rolling Stones "Bridges to Babylon"
http://sagmeisterwal[...]
2016-10-17
[6]
웹사이트
"Bridges to Babylon" – The Rolling Stone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3-10-21
[7]
웹사이트
Bridges to Babylon {{!}} EW.com
http://www.ew.com/ar[...]
[8]
웹사이트
NME.COM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 20/9/97
http://www.nme.com/r[...]
2000-08-17
[9]
간행물
Bridges to Babylon
https://www.rollings[...]
2016-12-04
[10]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11]
웹사이트
Streamnotes (June 2018)
http://tomhull.com/o[...]
2018-06-30
[12]
간행물
Sympathy for the devils
1997-11
[13]
웹사이트
Gold and Platinum Database Search
https://www.riaa.com[...]
2010-01-21
[14]
웹인용
Future Shock
http://www.billboard[...]
Billboard
2010-01-23
[15]
CD liner notes
Bridges To Babylon
1997
[16]
웹사이트
Top National Sellers: Denmark
https://worldradiohi[...]
[17]
웹사이트
Classifiche
http://www.musicaedi[...]
2022-05-27
[18]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19]
서적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Fundación Autor-SGAE
2005-09
[20]
웹사이트
Top 100 Album-Jahrescharts
https://www.offiziel[...]
GfK Entertainment
2016-09-08
[21]
웹사이트
Top 100 Album-Jahrescharts
https://www.offiziel[...]
GfK Entertainment
2016-09-08
[22]
간행물
Gli Stones a Milano, ma senza compenso
http://archivio.corr[...]
1998-04-29
[23]
웹사이트
A presentation "gold" record award for The Rolling Stones album Bridges to Babylon (Virgin Records, 1997). Presented to Ronnie Wood by EMI Music Mexico, to commemorate the sale of more than 50,000 units of the album.
https://www.juliensl[...]
2022-12-20
[24]
서적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http://www.mediafire[...]
Fundación Autor/SGAE
2005-09
[25]
간행물
Rock Royalty
https://books.google[...]
2005-08-06
[26]
웹사이트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 austriancharts.at
http://austrianchart[...]
[27]
웹사이트
swedishcharts.com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http://swedishcharts[...]
[28]
웹사이트
musicline.de
http://www.musicline[...]
[29]
웹사이트
norwegiancharts.com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http://norwegianchar[...]
[30]
웹사이트
dutchcharts.nl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http://dutchcharts.n[...]
[31]
웹사이트
lescharts.com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http://lescharts.com[...]
[32]
웹사이트
ultratop.be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http://www.ultratop.[...]
[33]
웹사이트
Bridges to Babylon - The Rolling Stones | AllMusic - Awards - Billboard Albums
http://www.allmusic.[...]
[34]
웹사이트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 hitparade.ch
http://hitparade.ch/[...]
[35]
웹사이트
finnishcharts.com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http://finnishcharts[...]
[36]
웹사이트
ultratop.be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http://www.ultratop.[...]
[37]
웹사이트
ChartArchive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http://chartarchive.[...]
[38]
웹사이트
ORICON STYLE
https://www.oricon.c[...]
[39]
웹사이트
charts.org.nz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http://charts.org.nz[...]
[40]
웹사이트
australian-charts.com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http://australian-ch[...]
[41]
서적
Old Gods Almost Dead: The 40-Year Odyssey of the Rolling Stones
Crown/Archetype
[42]
웹사이트
Hot Designer Matches Concepts to Music
https://books.google[...]
[43]
웹인용
Rolling Stones "Bridges to Babylon"
http://sagmeisterwal[...]
2019-03-28
[44]
웹인용
Allmusic review
"{{올뮤직|class=album|i[...]
[45]
웹인용
Bridges to Babylon
https://www.rollings[...]
2016-12-04
[46]
웹인용
Bridges to Babylon {{!}} EW.com
http://www.ew.com/ar[...]
[47]
웹인용
NME.COM – THE ROLLING STONES – Bridges To Babylon – 20/9/97
http://www.nme.com/r[...]
2000-08-17
[48]
웹인용
Gold and Platinum Database Search
https://www.riaa.com[...]
2010-01-21
[49]
뉴스
"Future Shock"
http://www.billboard[...]
Billboard
2010-01-23
[50]
서적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http://www.mediafire[...]
Sociedad General de Autores y Editores
20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